국내 및 세계 현황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히 진단되는 암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도 그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우리나라에서 여성 약 34,000명이 유방암을 진단받았고, 이는 전체 여성 암 환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특히 진단 연령 중위값이 약 53세였으며, 40대가 진단 비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통게는 유방암은 노년 여성을 위협하는 질환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가임기 이후부터 중년까지도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위험 요인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유방암 발생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합니다.
바꿀 수 없는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유전적 요인이 있고 나이가 들수록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유방 조직이 치밀하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이 올라갑니다.
반면,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생활습관 요인들도 존재합니다.
예컨대 과체중, 비만, 음주, 운동 부족 등이 유방암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험 요인을 이해하고, 가능하다면 생활습관을 개선해 가는 것이 예방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기발견 및 생존률 추세
유방암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얼마나 일찍 발견되느냐'입니다. 우리나라 통계상으로 보면, 진단 당시 암이 0기 혹은 1기 단계인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생존율 개선의 기초가 되고 있습니다. 에컨대 조기 단계 진단 비율이 60% 이상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또한 최근 5년 상대 생존률이 약 93.6%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유방 검진과 더불어, 유방에 변화가 있을 경우 즉시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 저도 건강검진을 받고왔는데, 유방 촬영검사가 엄청 아프다고 해서 그건 빼고 받았는데요, 조기발견이 중요하다고 하니 검사를 받을걸 하고 후회했답니다.
모두 조기 발견을 위하 정기적인 건강검진 꼭 필수로 받으시길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경부암 통계, 발생, 위험요인, 검진 주기 (0) | 2025.10.12 |
---|---|
난소낭종 복강경 수술 후 퇴원, 회복 과정, 생리 안하는 주사 (2) | 2025.09.23 |
난소낭종 복강경 수술 후 회복 3-6일차 일지 (난소 수술 후 바로 생리, 염증수치, 5박 6일 병원비) (9) | 2025.08.18 |
난소낭종 복강경 수술 후 회복 1-2일차 일지 (감정의 흐름, 병원밥, 통증 정도) (11) | 2025.08.17 |
환경호르몬, 식습관, 생활습관과 난소낭종 상관관계 (5) | 2025.08.17 |